자유게시판

2012년 7월1일 Twitter 이야기

공전과 자전 2012. 7. 1. 23:59
  • profile
    [단독]세계 200大 ‘미술큰손’살펴보니..루이비통,구찌,프라다 오너가 http://t.co/uIZQCQO
  • profile
    `시리아의 터키 전투기 격추 배후는 러시아` http://t.co/SZMw0LY
  • profile
    김용 세계은행 총재, 오늘 취임..`개혁 난제 산적` http://t.co/moO8OVO
  • profile
    김용 세계은행 총재, 오늘 취임..`개혁 난제 산적` :: 뉴스zum - http://t.co/moO8OVO http://t.co/BO8OQ5A
  • profile
    < 인류의 생존법칙> 세계 다문화속에서/화(火)속에서 복(福)이 기대고 있고/복(福)속에는 화( 火)가 숨어 있으며/복( 福)은 동시에 오지 않고/화(火) 는 혼자서 오지 않으며/ 복(福)은 아주 미미한곳에서 생기는데/ 화(火)는 소홀한 곳에서 생기며
  • profile
    복( 福)과화(火)를 들이는 문은 없는데/ 다만 사람들이 스스로 불러들인다 / 자원의 완성은 행복한 동행입니다.
  • profile
    < 이데올로기 ( ideologie ) > 이데올로기즘의 어원은 매우 상징적이고 재미있다 / 라틴어로 " 내가 본다 " 라는 뜻인 Ideo 와 논리나 이론을 뜻하는 logos 를 합성한 말이니 결국 " 내가 보는 논리 "가 곧 이데올로기이다.
  • profile
    남이 보는것이나 남과 함께 보는것이 아니라 내가 보는것이 이데올로기인것이다. 마르크스는 이데올로기를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데올로기가 지배계급을 정당화하는 일종의 관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모순덩어리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지 않고 지배 논리로
  • profile
    포장해서 보여주는게 곧 이데올로기라고 외쳤다. 맑스에게 이데올로기란 해체해야 할 대상이었다. 허나 그는 우습게도 자신의 주장은 이데올로기라고 생각하지 않았던것이다. 1926년 사회학자 칼 만하임이 이데올로기는 사회 현상을 해석하고 평가하는 기준이되는
  • profile
    신념들의 집합 " 이라는 해석을 내놓으면서 이데올로기의 개념은 확장된다. 이 이론때문에 맑스 역시 하나의 이데올로기라는 명제가 성립하였고 이데올로기를 저주했던 맑스가 이데올로기의 화신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확장을 거듭하던 이데올로기는
  • profile
    모든 정치, 경제, 사회사상을 지칭하는 말로 쓰일 무렵인 1950년대 미국 사회학자 대니엘 벨이 이데올로기의 종언을 주장했다. 그는 이데올로기가 세상을 움직이는 시대는 끝났다고 선언했다. / 21세기 시작의 우리들은 그말을 믿지 않는다,
  • profile
    개방개혁의 정책속에 세계금융제도가 무너졌으며, 경제의 위기를 맞이하였기때문에 바로 경제 이데올로기라는 사회때문이다. 세계은행은 브릭스와, IMF 로 나눠졌기때문이다. 모든 정부의 재정 또한 무너졌기때문에 치유와 회복기가 필요한 시대이기때문이다
  • profile
    인류의 최고의 가치는 " 계획안에서 모든것을 이룰수있는 능력을 갖고 있기때문이다. " 하나님의 천지창조와 주안에서 주어진 능력안에서모든것을 할수있는 능력을 부여 받았기때문에 21세기시작까지 도착하였고 그리고 미래의 비젼을 세워 놓고있다고 말하고 싶다.
  • profile
    홉스의 사회 계약론에는 인간에게 가장 소중한것은 생명유지, 존중이며, 인간이 정부도 법률도 없는 자연상태에서 벗어나 계약을 맺어 공통권력을 창출하고, 그 공통권력을 사람들의 자유와 안전을 위하여 행사하는 대표자, 주권자를 인정 하였을때 거기에
  • profile
    이곳에서 사람들은 스스로 자신의 몸을 지킬 필요가 없어지고, 국민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법률에의해 보호하므로 자연상태에 방치되는것 같은 < 만인의 만인에대한 투쟁상태 > 가 발생할 위험성도 사라져 평화스런 정치사회에서 생활할수있다고본것이다
  • profile
    이 새로운 사회,국가에서 권력의 정당성은 동의, 계약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므로 권위적 강압적 정치는 인정되지 않는다.또한 국민의 의지는 생명의 안전이라는 원리로 통합하였기때문에 자유스런 정치사회가 된다 바로 독립국가이론이다/자원의 완성은 행복한 동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