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2년 7월27일 Twitter 이야기
공전과 자전
2012. 7. 27. 23:59
-
< 엔트로피 법칙> 헉슬러의 " 멋진 신세계" 야만인 존은 어머니로부터들은 문명세계를 꿈꾸며 자란다. 아무런 고통도 없이 편안하고 안락한 삶을 살아갈 희망을 간직하고 살던 존은 어느날 문명 세계에 초대된다. 문명 세계는 고통도 없고, 물질적으로
-
-
< 엔트로피 법칙> 풍요롭고 쾌락이 충만한 세상이지만 존이 바라던 세계는 아니었다. 인간다움은 없다. 선택할수도 없고 노력을 통해 이루어갈수도 없는 세계이다. 물질과 쾌락이 충만한 세계을 버리듯 도망쳐 나온 존은 야만의 세계로 되돌아간다.
-
-
< 엔트로피 법칙>하지만 야만의 세계도 그가 속한 세상은 아니다/선악과를 먹은 하와처럼 물질문명의 욕구를 잠재울수가 없었다/존은 어느 세계에도 속하지 못한 이방인이 되었다/ 존은 결국 자살로 인생을 마감한다는 이야기다/유토피아에서 디스토피아로 전환된다
-
-
< 엔트로피 법칙> 헉슬러의 멋진 신세계는 물질문명이 충분히 발달한 세계가 과연 행복할까? 를 묻고있다/ 행복이란? 생각을 하고 있을때 부터, 행복의 시작이라고 이야기한다/ 이에 대해 과학 " 열역학" 은 물질문명의 발전은 한계가 있고,
-
-
< 엔트로피 법칙> 빨리 발전 할수록 빨리 멸망할것이라고 말한다/ " 엎질러진 물" 처럼 다시 복원할수 없는것이 에너지라고 이야기한다/ 뜨거운 물체의 열이 차가운데로 가는 경우는 있지만, 차가운것이 뜨거워지는것은 없다/ 엔트로피는 물질의 열적 상태를
-
-
< 엔트로피 법칙> 초전도체적인 현상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이것이 증가하면 무질서하게 퍼진다는 의미 즉, 정보통신의 초전도체적 전자파 펄스현상과도 같다고 할수있으며,월드 에어현상과 같은 모습을 하고있다,감소한다는것은 가용가능한 상태로 변한다는것이다
-
-
< 엔트로피 법칙>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은 인류의물질문명에 근본적인 경고를 하고있다/인류의 역사는 시대적배경을 구분했으나,시간이 흘러갈수록 다음단계는 더쇠퇴한다는 이야기다/로마 교황청역사속에, 기차는 지옥으로 가는 길이다/라고 교황께서 선포한 역사도있다
-
-
< 엔트로피 법칙> 교황도, 세상이 커지면,무질서하고,자신들의주장만 고집하고,다원화문화를 걱정하였으며, 어느누구도 미래의사회는 자원의 고갈과 자본의 한계를 부정할수없는것이 결과라고 생각하였다/ 시대적배경과 시간이 흘러갈수록 다음단계는 쇠퇴한다고 보았다
-
-
< 엔트로피 법칙> 최종결과는 경쟁과 대립, 분쟁과 전쟁으로 인류의 문명은 파괴되기때문이라고 경고한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는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는 주체이다/ 현대문명의 빠른 속도라면, 미래의 재생 가능한 에너지는 사라질것이다/ 라고 생각할수있다
-
-
< 엔트로피 법칙> 제레미 리프킨은 그의 책를 빗대어서 이를두고, 조지오웰의 1984년 엔트로피 전쟁은 평화가 되고, 거짓말은 진실이라는식으로 세뇌당하고 있다/고 말한다. 리프킨은 자본주의나 사회주의 모두 기계적 세계관, 즉, 인간의 능력으로
-
-
< 엔트로피 법칙> 물질의 풍요를 만들어 갈수있다,고 믿는다고 비판한다/ 평등한 세상을 꿈꾸는 이상주의도 결국은 엔트로피 세상을 만들어 갈뿐이라고 말한다/다니엘 벨의 지적처럼 유토피아의 논의는 항상 새롭게 시작될수있으며,다만 유토피아의 이데올로기화의
-
-
< 엔트로피 법칙> 함정을 경계해야만한다고 이야기한다/ 사실산 유토피아는 불안과 위기,환멸과좌절의 시대일수록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플라톤의 국가론,아리스토 텔레스의 정치학,루소의 사회계약론,사상에서 처럼 이상적인 정치질서와 그원리를 제시한것을 들수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