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마 역사와 문화

[스크랩] 3.1 운동의 역사적 의의

3.1 운동의 역사적 의의

 

 

 

1. 3.1 운동의 의의

  3.1 운동은 1910년 국권을 강탈 당한 이후, 일제의 온갖 설움과 압박에서 해방되고자 전 민족이 참여한 대규모의 독립운동이었으며, 그때까지의 독립운동을 새로운 단계로 전환시 키는 중요한 분기점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분기점이었다.

  그리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독립군이 조직되어 무장독립전쟁을 전개하여 우 리 민족의 의지를 전세계에 떨쳤다. 이러한 3.1 운동 정신은 계속 이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정부는 이날을 3.1 절로 정하여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2. 역사적 배경

  일제는 우리 주권을 빼앗고 경제를 장악하여 강산을 완전히 장악하였다. 우리말도 쓰지 못하게 하였고 같이 모여 토론할 수 있는 정치적 자유를 빼앗았을 뿐만아니라 교육을 철 저히 통제한 후 우리민족을 일본사람으로 만들어 그들의 심부름꾼으로 이용하려 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주권을 되찾으려고 노력하거나 항일 운동을 하는 자는 체포, 구금하여 고문을 가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혹독한 수탈과 압박이 더 할수록 우리 민족의 반일 감정과 저항은 더욱 뜨겁게 달아 올라 마침내 3.1 운동으로 나타났다.

3. 3.1 운동의 전개과정

  1919년 3월 1일, 파고다 공원에서 한 학생의 '독립선언서' 낭독으로 시작된 우렁찬 만세 소리는 서울의 경우, 며칠동안 일제가 전혀 어찌해 볼 도리가 없을 정도였다. 만세 소리 는 전국 218개군 가운데 211개군으로 불길처럼 퍼져갔다. 이런 과정에서 유관순 열사는 고향인 아우내 장터에서 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가 일본헌병에 체포되어 반죽음이 된채 재 판에 회부되었다.

  유관순 열사는 재판에서 "나는 조선 사람이다. 너희들이 우리 땅에 와서 죄없는 우리 동포를 수 없이 죽였으니, 죄인은 내가 아니라 바로 너희들이다. 그런 너희가 어찌 재판 을 하겠단 말이냐? 당치도 않은 수작은 집어 치워라!" 하고 떳떳이 주장하다가 7년의 징 역형을 받게 되었다. 감옥에 갇혀서도 계속해서 만세를 부르다가 1920년 17세 나이로 굶 주림과 병으로 감옥에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이처럼 일제는 어린 학생 뿐만아니라 평화적으로 진행되는 만세 운동을 총칼로 진압하여 수만명을 죽이고, 10여만명의 부상자를 내었으며, 재판을 받은 사람도 만명이 넘을 정도 로 무자비한 폭력을 휘둘렀다. 시위 군중에 대한 학살 뿐만 아니라 체포된 사람에 대한 고문 또한 잔인하기 그지 없었으며, 무고한 양민을 학살하기도 하였다.

4. 우리의 자세

  3.1 절을 맞이하여 유관순 열사 및 그때 만세를 부르다 숨져간 수 많은 '님'들을 생각해 보며, 조국이 나의 삶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나는 어떻게 살아 갈 것인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3.1 운동 정기를 되새기며 나와 우리 민족이 살아갈 수 있는 진정한 민주 사회를 만드는데 진정한 일꾼이 되도록 마음을 닦고 지식을 쌓아야 할 것이다.

 

 

 

 - 다음 백과사전에서 -

출처 : 예 家
글쓴이 : 희 종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