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2015년 2월3일 Twitter 이야기

  • profile
    <위대한 전략가의가르침>이 모든 어둠이 지나가면/ 아침이 올까요/ 태양이 뜰까요/ 이 모든 폭풍우가 지나가면/ 평화가 올까요/ 난 쉴수 있을까요 ?/ 난 기다려요/ 이 모든 폭풍우가 지나가면/ 이 모든 파도가 잠잠해지면/ 난 언젠가 웃을수 있겠죠 !/
  • profile
    < 위대한 전략가의 가르침 > 난 기다려요 / 내모든 눈물이 마를때면/ 내 모든 아픔도 이겨내면 / 난 당신의 품에 안길수 있겠죠 !/ 이 모든 어둠이 지나가면 / 그대 오시겠죠 / 내영혼 기다려요 / 자원의 완성은 행복한 동행입니다/
  • profile
    < 위대한 전략가의 가르침 > 중국 사회가 선택한 선부론과 균부론 / 조화로운 사회건설에 유용하게 ,쓰이고있는가?/ 중국사회는 선부론을 폐지하고 , 균부론을 선택하였을까 /바로 빈부격차와 사회 양극화 문제을 해결하기 위해서 정책으로 발표했다/
  • profile
    <위대한전략가의가르침>선부론은 유능한 사람이 먼저 부자가 되라는원칙이며/균부론은 모두가 다 같이 잘살자 라는 원칙으로,중국사회정책에 시대적으로 활용하였다/21세기 와서는 조화로운 사회건설을 추구하기위해서 선부론과 균부론을 통합하여 반영하고있는것같다/
  • profile
    <위대한 전략가의 가르침> 2015년 신년 화두는 개방개혁을 앞세우고, 세계모든 국가들은 선부론과 균부론을 함께 수용 할수 있는 지구촌 사회가 되어 조화로운 사회건설을 만들어 내야만 할것이다/ 빈부격차와 양극화문제를 해결하여야만이 미래가 있을것이다/
  • profile
    < 위대한 전략가의 가르침 > 21세기 모든인류는 조용한 혁명으로 역사가 반복되게 하고 싶어한다/ 쓰레기통에 든것들이 어쩌면 경제의 선행지표로 유용하게 쓰일수있도록 바랄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우리가 하는 모든 행위에서 빅데이터에 의존하고 싶어질것이다/
  • profile
    <위대한전략가의가르침>땅에서 나는 산물을 먹고 사는 농부들이라면 아마도 자연스레 그런 세계관에 의존하며,살아갈수밖에는 없을것이다/우리는 미래로 갈수록 스스로에 대해 무엇을 예측할것인지를 위기의식으로 느껴질수밖에 없는 예측 불허한 삶속에서 번뇌하고있다/
  • profile
    <위대한전략가의가르침>지구촌 인류는 미래의자손들을 위해서는/위대한 귀환/이라는 이름을 붙인 이프로젝트를 통해서 , 반성과 시작으로 삼아서 기본과학의 조화로운 미래건설을 생각해 보아야할것이다/이 프로젝트을 새시대를 여는 빅뱅시대으로 삼아야 할것이다/
  • profile
    <위대한 전략가의가르침>첫째는 비둘기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독해 분석한다/둘째는 비둘기를 만들어내는데 쓰일 세포를 만든다/ 셋째는 합성 DNA로부터 비둘기 게놈을 만든다
    넷째는 변형 세포를 이용해 우선 키메라 (복수 유전적으로 다른세포를 갖는 동물)/
  • profile
    <위대한 전략가의가르침>를 만들고 마침내 비둘기를 복원한다/다섯째는 이 비둘기를 야생으로 돌려 보낸다/다시말해서,인류의 잘못으로 지구촌에서 사라진 비둘기를 부활 시켜서 자연으로 돌려 보내는 것이야말로 ,미래의 인류가 살아남을수 있을것이다/생각해본다
  • profile
    <위대한 전략가의가르침>위대한 귀환/프로젝트를 선정한 이유는 마지막 위대한 희망과도 같은 꿈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종의 소멸이 지금과 같은 속도로 진행될경우 우리는 수백년안에 대규모 멸종을 맞게 될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전쟁,싸움,환란,분쟁을 하지말자/
  • profile
    @BeijingChinaRR / 자원의 완성은 행복한 동행입니다
  • profile
    얼레리 꼴레리 아리랑 / 이 모든 어둠이 지나가면 http://t.co/53uQHT2cz1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2월8일 Twitter 이야기  (0) 2015.02.08
2015년 2월4일 Twitter 이야기  (0) 2015.02.04
2015년 2월1일 Twitter 이야기  (0) 2015.02.01
2015년 1월31일 Twitter 이야기  (0) 2015.01.31
2015년 1월29일 Twitter 이야기  (0) 201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