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얀 연기처럼 피어나는 안개는 붉은 소나무의 조용한 떨림 같은 착각을 불러왔다.
하얀 솔향을 방사하는 늘씬한 붉은 소나무의 허리를 돌아 태고의 신비함이 폐부를 가득 채우는 것만 같기도 하다. 이곳 산중의 고요함은 마치
밤하늘의 우주와 같다. 잠깐의 휴식은 달콤한 한 모금의 담배 연기처럼 산행의 피곤함을 말끔히 잊게 한다. 10월 1일. 두 시간 동안 오락가락하는 가랑비를 맞으며 채집한 송이버섯이 제법 된다. 안개에 쌓인 송이 움막에 도착하여 어르신들에게 보여주니 허허 웃으신다. 송이를 따 본 재미를 아이처럼 늘어놓는 것을 빼지 않고 씨알 작은 놈 다섯 개는 솔잎에 그대로 덮어 두었다는 무용담을 어르신들에게 자랑하듯 떨어 놓는다. 두 시간 가량의 산행과 적당히 흘린 땀이 출출함을 느끼게 했다. 최 기자 어머님은 일찌감치 밥을 해 놓으셨고 우리가 오기만을 기다렸다는 듯이 송이를 다듬으신다. 송이버섯을 따는 재미도 재미지만 뭐니뭐니 해도 요리해서 먹는 재미를 빼놓을 수 없다. 산중 생활이라 별거 없을 거라지만 요것저것 모으니 살림살이는 살림살이다. 이제 송이버섯 요리 시간이다. 송이버섯두루치기의 진미는 향을 유지하는 것 송이버섯의 요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송이버섯의 독특한 향을 자연상태 그대로 최대한 유지하여 후각과 미각을 즐겁게 해주는 것에 있다. 물론 시각의 즐거움이 한가지 더 첨부되어야 하겠지만 산중이니 이 점은 잊기로 하자. 송이는 먼저 바로 따 온 것을 취급하는 것이 좋다.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것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송이는 보통 하루 이상 묵은 송이로 향이 적어도 30%에서 50% 정도 달아난 상태다. 송이버섯은 갓이 핀 것이 오히려 향이 더 진하다는 사실도 잊지 말고 참고하기 바라며, 시중에서 판매하는 송이가 갓이 핀 등외품이라고 해서 향과 맛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럼 산중에서 송이버섯두루치기는 어떻게 하는지 설명하겠다.
특히 마늘과 같이 향이 진한 것은 적게 넣고 미리 익혀 향을 적게 만들어야 한다. 또 될 수 있으면 이런 향이 진한 야채는 한 가지 이상 쓰지 않는 것이 송이 요리에서는 필요하다. 이곳 산에서는 파밖에 없으므로 이해해 주시길 바란다. 반드시 약한 불에서 익혀야지 파가 타면 탄 내는 사라지지 않으니 파가 타면 차라리 그릇을 비우고 파 없이 요리하는 것이 좋다. 파는 송이 크기에 맞추어 듬성듬성 대충 잘라 넣는다.
돼지고기의 성질을 중화시키는 데는 소주가 안성맞춤 따라서 송이버섯을 돼지고기와 섞을 때 돼지고기의 이러한 성질을 먼저 중화시켜야 송이의 맛과 향을 제대로 우려낼 수 있다. 산중에서는 이러한 성질을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재료가 두 가지 있다. 하나는 물이고 하나는 술이다. 물은 쉽게 구하지만 술은 사실 구하기 어렵다. 술이 없다면 물은 반드시 넣어야 한다. 그렇지만 이런 산중 움막에는 소주 한 병 정도는 있는 법이니 그것을 이용하여 돼지고기가 잠길 정도로 소주와 물을 붓는다. 이때 소주는 1홉(소주 반 병) 정도 먼저 붓고 1분 이상 가열한 뒤 물로 나머지를 채우면 된다. 소주는 돼지고기의 흡수하는 성질에 따라 돼지고기 속으로 스며들고 소주는 돼지의 독특한 눅눅한 고기 향을 알코올 성분으로 휘발시키게 된다. 소금은 굵은 소금으로 간만 배이게 한다. 이때 어설프게 멋도 모르고 고추장이나 다른 양념으로 맛을 내어서는 안 된다. 소금은 향이 없으면서 맛을 내니 송이버섯 요리에서 양념으로 소금 한 가지만 쓰는 것이 좋다.
뚜껑은 반드시 덮는데 다른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막자는 것이 아니라 송이의 향이 달아나는 것을 막는 것이므로 유념하시기 바란다. 하얀 송이가 색이 변하면 익었다는 신호이므로 요리가 다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래도 이렇게 배불리 먹고 남은 송이버섯이 있다면 이번엔 그냥 아무 양념 없이 익혀 먹어도 일미다. 말하자면 양념 없는 송이버섯볶음은 송이버섯두루치기의 후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송이버섯두루치기 요리법을 간략하게 소개했다. 이것은 산중에서 송이 채취를 30년 이상 하신 두 어르신의 경험이 담긴 지혜라는 것을 밝히고 싶다. |
![]() | |
|
출처 : 산중에서 어르신께 배워보는 송이버섯두루치기 요리비법
글쓴이 : e-이장 원글보기
메모 :
'스토리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집에서 만드는 와인 달콤한 향이 콧속 가득히… (0) | 2006.01.11 |
---|---|
[스크랩] 와인도 리모델링 한다? (0) | 2006.01.11 |
[스크랩] 아주까리 잎을 따서 나물을 만들었습니다 (0) | 2006.01.11 |
[스크랩] 속 확 풀어주는 국물맛 으뜸 '연포탕' (0) | 2006.01.11 |
[스크랩] 팔공산 오리고기 별미집-산따라 물따라 (0) | 2006.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