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2012년 8월29일 Twitter 이야기

  • profile
    "후진타오, 보시라이 15년형 주문"<보쉰> http://t.co/5ZMWHcU
  • profile
    ‘노예’라던 푸틴, 실제로는 ‘황제’ 생활 http://t.co/3hCD1KP
  • profile
    <애플의 로고> 한입 베어먹은 사과이다/영국의천재수학자 앨런 튜링(1912-1954) 이 자살하면서 독을 묻혀 먹은사과를 묘사했다고 한다/ 스티븐잡스 또한, 젊은나이에 운명을 달리했다/우리들은 애플의 로고 같은 모습의 미래의과학문명의 경고를 생각해보자
  • profile
    < 애플의 로고> 당시 튜링이 먹은사과가 매킨토시종이었다는 주장이다/ 어떻든 튜링과 잡스는 모두 기계에 인간의 지능과 사고를 담으려는 꿈을 갖고있다/자기 자신들은 인류의 고귀한 희생자 예수님의 모습인가? 자신들은 금단의 사과를 먹은,희생자들인가?
  • profile
    < 애플의 로고> 인간의 지능을 갖는 기계는 철학자들의 오랜숙제였다고 말한다/ 특히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쇼펜하워, 등 독일 관념철학자들이 기계에 사고능력을 부여 할수있을지 여부에대해 많은관심을 갖고있었다,한다/튜링은 인간의 논리적 사고에 바탕을 둔
  • profile
    < 애플의 로고> 알고리즘의 개념을 만들고 인공지능의 세계를 열면서 기계에 지능을 부여할수 있는 가능성을 부여줬다/ 하지만 천재성으로 기계를 만들어낸자들은 하나같이 , 요절하고마는 현상은 무엇때문일까? / 인공지능의 기계에게 당하였다고 볼수있는것이다.
  • profile
    <애플의 로고>지구촌의 모든 과학자들은 자신들이 만든 기계들에 의하여,미래에는 요절하지 않을까!정말 걱정이된다/기차는 지옥으로 가는길이다"는 정의,또한 우리들은 미래를 위하여,과학문명을 다시한번 생각해보아야만 할것이다./우리가 만든 기계에 당하지말자!
  • profile
    < 애플의 로고> 튜링은 천재성의 지능을 가지고있는 소유자였지만 또한편으로는 외로운 모습의 동성애자였다는 모습의 이중적인 성격은 어디서부터 첫발을 잘못 행했을까? 또 스티븐 잡스,또한 세상을 스마트세상을 만들어, 천국으로 살게 하였으면서 요절하였는지?
  • profile
    < 애플의 로고> 튜링은 당시에는 동성애자를 범죄에 취급했던, 영국에 의해 화학적 거세를 당했으며, 여성 호르몬까지 주입받는 수모를 겪었다한다/바로 갈릴레이 갈릴레오의 천동설과 지동설의 내용과 비슷하다/튜링은 극단적인 수치심과 외로움을 견디지 못하고
  • profile
    < 애플의 로고> 독이 묻은 사과를 먹고 자살했다/ 불과 42세때였다/ 스티븐잡스는 친구를 위해서, 애플의 로고 즉,메킨토시종이 되었다는 신화적인 이야기이다/ 21세기 우리지구촌 친구여러분들 또한 컴퓨터를 신봉하고있을것이다/기계에 당하여 요절하지 말자
  • profile
    < 애플의 로고> 컴퓨터 시대/ 미래의 비젼이다 하지만, 컴퓨터에는 사람들을 미치게하는,사람들을 힘들게 못살게하는 중독성의 무서운 힘이 작용되어, 그것을 이기지 못하면, 요절하게뙨다는 중요한 사실을 왜곡하지 말고,컴퓨터과학자들은 기계에 중독성은 빼자
  • profile
    < 애플의 로고> 지구촌 친구 여러분, 자원의 완성은 행복한 동행입니다.
  • profile
    http://t.co/phsLnUY | 신화 - 신화 대통령은 세계 미디어 조직의 구획 정리한다고 주장 -... http://t.co/cVK9djU
  • profile
    http://t.co/phsLnUY | 신화 - 신화 대통령은 세계 미디어 조직의 구획 정리한다고 주장 http://t.co/STZpA5a
  • profile
    WMS 2012 - 특별 보고서 - http://t.co/phsLnUY http://t.co/TsDR6Y8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년 8월31일 Twitter 이야기  (0) 2012.08.31
2012년 8월29일 요즘 이야기  (0) 2012.08.29
2012년 8월28일 Twitter 이야기  (0) 2012.08.28
2012년 8월26일 Twitter 이야기  (0) 2012.08.26
2012년 8월25일 Twitter 이야기  (0) 201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