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림 맡아 하는 안주인의 거처로 가장 안쪽에 자리
출산이나 임종 등 집안의 가장 중요한 일들 이뤄지는 곳
선사 시대의 움집은 방이 하나인 집이었습니다. 방이 곧 집이었지요. 이 방(집) 안에서 음식을 만들고, 쉬거나 잠을 자며, 생활에 필요한 도구도 만들었습니다.
집에 방을 여럿 만들기 시작한 것은 움집에서 벗어나 땅 위에 집을 지을 줄 알게 되면서부터입니다. 이 때, 먼저 음식을 만드는 부엌과 잠을 자는 방을 따로 두게 되었지요.
- ‘안방’과‘사랑채’
![]() |
안방은 안주인이 가족을 보살피고 생활하는 여성 전용 공간이다. 사진은 대표적인 양반집으로 꼽히는 안동 하회 마을의 충효당 안방. |
집의 바깥과 통하는 곳에 자리한 사랑채가 집안의 남자 어른인 사랑 나리(사랑 양반)가 바깥일을 처리하며 손님들을 맞이하는 공간이라면, 안채는 주인 마님을 비롯한 여성들과 어린이들의 공간입니다.
조선 시대에 주인 마님은 집안 살림을 도맡아 하고, 바깥일은 사랑 나리가 맡아서 처리하면서, 서로의 일에 간섭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습니다. 주인마님은 ‘사랑에서 하시는 일이므로…….’하며, 마찬가지로 사랑 나리도 ‘안에서 하는 일이라…….’하며 웬만하면 서로 참견하기를 꺼렸지요.
안방은 안주인이 가족들의 의식주를 보살피는 공간으로, 바느질ㆍ다듬이질 등을 하는 일터였어요. 그래서 안방의 윗목이나 옆면에는 옷가지와 잠자리에 필요한 이불ㆍ요 따위를 보관하는 반다지나 고리짝 같은 가구들이 가지런히 놓였습니다.
그리고 안방과 연결된 부엌 위쪽에는 다락을 만들어, 안방에서 드나들도록 했습니다. 이 다락에는 가장 아끼는 물건들을 넣어 두었답니다. 맛있는 곶감, 대추도 이 다락에 갈무리했지요.
- 양반집 안채는 대문과 중문 거쳐야
![]() |
밀양시 북부면 퇴로리에 있는 한옥의 중문. 양반의 집 안채에 들어가려면 대문을 지나 다시 정문을 거쳐야 했다. /사진 제공=황헌만(사진 작가) |
출산뿐만 아니라, 어른이 숨질 때도 안방에 모셔 놓고 세상을 떠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겼습니다. 이와 같이 집안의 가장 중요한 일들이 모두 안방에서 이뤄졌습니다.
그런데 양반들의 안방과 서민들의 안방은 쓰임새가 다른 점이 있었습니다. 양반들의 집 안채는 맨 안에 위치하여 대문을 지나 다시 안채로 드나드는 중문을 거쳐야 했습니다. 바깥에서 안채를 함부로 엿볼 수 없게 한 것이지요. 이 안채에는 가까운 친척 이외의 남자는 함부로 드나들 수 없었답니다.
양반 집의 안방 바닥에는 장판지를 발랐으며, 벽과 천장은 한지로 도배하였습니다. 방 안에는 보료(앉은 자리에 깔아 두는 요)ㆍ안석(앉아서 몸을 기대는 데 쓰는, 벽에 세우게 되어 있는 방석)ㆍ침구ㆍ장농 같은 가구, 빗접(머리를 빗는 데 쓰는 기구를 담아 두는 그릇)ㆍ거울 등의 화장 도구, 반짇고리ㆍ화로ㆍ인두 같은 바느질 도구가 놓였습니다.
- 서민들의 안방은 부엌과 이어져
서민들의 안방은 부모가 생활하는 방으로 부엌과 이어져 있습니다. 다른 방에 비해 크다고 해서 큰방, 아래쪽에 있다고 해서 아랫방이라고 부르기도 했지요. 부모가 주로 생활하는 안방에 식구들이 모이고, 식사도 이루어졌습니다. 이와 같이 안방은 집안의 가장 중심이 되?공간입니다.
바悶〈?양반들의 안방과 같이 구들 위에 장판지를 까는데, 가난한 집에서는 왕골로 짠 돗자리나 갈대를 엮어 만든 삿자리를 깔기도 합니다. 벽과 천장은 종이로 바르지만 그럴 형편이 못 되는 집은 흙벽이 그대로 드러나게 두었습니다. 방안에는 반다지나 고리짝을 두고 웃을 보관하지만, 천장 가까이에 시렁을 매어 옷을 걸거나 간단한 살림살이를 얹어두었어요.
오늘날 아파트와 주택에도 맨 안쪽에 가장 넓은 방을 만들어 집안의 어른이 안방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면 우리의 생활이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 상 해(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http://kids.hankooki.com/lpage/study/200505/kd2005051915032745690.htm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펌] 거실에 놓아둘 근사한TV장을 만들어 볼까요? (0) | 2006.01.11 |
---|---|
[스크랩] [펌] [문화와 과학이 있는 집 이야기] 한옥의 특징 (0) | 2006.01.11 |
[스크랩] [펌] [문화와 과학이 있는 집 이야기] 한옥의 방 (0) | 2006.01.11 |
[스크랩] [펌] [문화와 과학이 있는 집 이야기] 마당과 방 사이에 놓인 '마루' (0) | 2006.01.11 |
[스크랩] [펌] [문화와 과학이 있는 집 이야기] 남자 어른의 생활 공간 '사랑채' (0) | 2006.01.11 |